선물(기증의 의미를 담다.)
여행지: 전북 도립 미술관(전북 완주군 구이면 모악산길 111-6
제 목: 이건희 컬렉션(한국 근,현대 미술 특별전:2024,11,15~02,09)
여행일시: 2025,2,09,일요일,09:40~11:30
여행일정: 평택~서평택~부여~군산~전주~전북도립미술관
여행인원: 아내와 둘이서
여행소감: 지난해(2023~2024) 국립중앙박물관,수원시립미술관등을
관람하면서 이건희 컬렉션에 대한 정보를 접하던 차에
2022년 10월부터 전국 순회 전시의 종착역인 전북 도립
미술관에서 한국 근현대 미술작가의 작품들을 감상 할
기회가 되어 모악산 자락의 터에서 이건희 컬렉션
전시 작품들을 대면하면서 대가들의 정성이 담긴
붓끝의 필력으로 전하는 예술 혼에 감동을 발하며
이런 기회를 만들어 준 고 이건희 회장님께 감사의
마음을 드리면서, 개인적으로 국립중앙박물관등에서 접한
수많은 국보,보물등의 다양한 기부 문화재와 미술품을
보면서 한 개인의 사회및 국가에 미치는 선한 영향력을
측량 해 볼 기회가 되었는데,
이번 특별전에서 감상하게 된, 이중섭,박수근,김기창,이응노,
황종하화백등의 작품을 통하여 무디고 미흡한 예술적 안목에
한줄기 빛처럼 맑은 창을 열어젖히는 감흥받게 해 준
이건희 컬렉션 관계자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아래에 해설 내용은 전시 자료등을 참조하였다.

모악산 자락의 전북도립미술관 전경(2025,02,09,일요일, 09:40경)

한국 근현대 미술 특별전(이건희 컬렉션: 선물)은
전북도립미술관이 전국 순회의 10번째 선물인 셈이다.
2020,10,25. 타계한 고 이건희 회장이 생전에 소장했던
2만 3천여 점의 작품들을 국립중앙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등에
기부하였고, 지난 2022년 10월부터 전국 순회전 형태로
"이건희 컬렉션 한국 근,현대특별전"의 선물은 그동안
광주시립미술관,부산시립미술관,경남도립미술관,대구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대전시립미술관,경기도미술관,전남도립미술관,
제주도립미술관 등에서 열렸고, 이번 전북도립미술관은
10번째 선물인 것이다.

모악산 자락의 철늦은 서설을 담요처럼 덥고있는
전북도립박물관 앞에선 아내

박물관 현관 내부의 작품(신체향기,2019년:이건용 작) 앞에서

입장시 받은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출입표

이건희 컬렉션 내부의 안내도




제1전시실부터 제5전시실까지 나뭇가지 형상의
관람을 이야기 한다.

불상,구본웅(1906~1953) 1930년대 후반~1940년대 전반 추정
종이에 먹,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사내아이,김종태(1906~1935),1929년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인물,구본웅(1906~1953),1940년대,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이건희 유족 기증(2021)

이중섭 화백(1916~1956)의 생전 모습
'흰 소' (1954) 그림으로 잘 알려진 국민화가.

'파란게와 어린이' 이중섭,1950년대 전반, 종이에 유화
이중섭 미술관, 박명자 기증(2015년)

현해탄,이중섭,1954, 종이에 연필,유화
이중섭 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섶섬이 보이는 풍경,1951(이중섭),패널에 유화,이중섭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절구질하는 여인,박수근(1914~1965)
1950년대 우리시대 어머니들의 삶과 애환을 보는 듯하여
한편으로는 가슴이 먹먹하다.
1957,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이건희 유족 기증(2021)

두 남자,1950년대,박수근(1914~1965)
종이에 연필, 양주군립 박수근 미술관
2021년 고 이건희 유족 기증

시장,1950, 박수근, 종이에 연필.
양주 군립 박수근 미술관, 박명자 기증


아기와 아낙들,박수근,1950년대
양주군립박수근미술관, 2021,고 이건희 가족 기증

나무와 소녀, 박수근, 종이에 연필,1950년대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초가집,박수근, 1963년, 하드보드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농촌풍경,박수근,1960년대,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작품,김환기(1913~1974),1950년대
하드보드에 유화물감, 광주시립미술관

서있는 사람,1980,최종태(1932~),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

무제,김환기(1913~1974),1970,종이에 유화
광주시립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나무아래정자,장욱진(1917~1990),1986,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어미소,장욱진,1979,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나무 위 새들,장욱진,1983,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나무와 까치,장욱진,1988, 캔버스에 유화
양주시립장욱진 미술관, 장욱진 미술문화재단 기증


전북도립미술관 휴게실에서

호족,황종하(1887~1952),1920년대
비단에 먹,색:족자,국립현대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전시작가의 성명의 무게가 느껴진다.

맹호,황종하, 1940년대~1950년대 추정,
비단에 먹,색,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소와 여인,김기창(1914~2001),1960년대 초반, 종이에 색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정물,박래현(1920~1976),1950년대,종이에 먹,색
국립현대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염원,류경채(1920~1995),1989,캔버스에 유화
광주시립미술관, 류경채 기증(1992)

비둘기를 치는 소녀들,류경채,1959,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우산을 쓴 여인 ,문윤모(1919~1980),연도미상,캔버스에 유화
전북도립미술관. 문철모 기증(2005)

우기8,진환(1913~1951),1943,캔버스에 유화
고창군립미술관 ,진기풍 기증(2001)


영산홍, 민경갑(1933~2018),1973, 종이에 색
고창군립미술관, 진기풍 기증

국화, 이응노(1904~1989),1920년대 후반,한지에 먹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이준호 기증(2013)

고암(顧菴) 이응로 화백의 또 다른 호 죽사

이응로 관련 엽서



광화문 우체국 소인등이 찍힌 조선일일신문사에서
보낸 엽서등이 보인다.

석죽, 이응노,연도미상 , 한지에 먹
고암이응노생가 기념관, 이종진,이경인 기증(2010)

묵죽, 이응노, 연대미상, 이응노 생가 기념관


대나무, 이응노,연도미상, 한지에 먹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우찬규 기증(2011)

대나무,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한지에 먹,연대미상










염소 5마리, 이응노 ,1970년대, 종이에 먹
광주시립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산수,이응로,1986, 종이에 먹
광주시립미술관 ,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분난, 이응노,1933, 한지에 먹,색,이응노 미술관
청관재(고 조재진, 박경임)기증

대죽, 이응노, 1932,종이에 먹, 이응노 미술관
청관재(고 조재진, 박경임)기증

생명의 노래-풍죽, 김병종(1953년생),2019,
혼합재료에 먹,채색,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김병종 기종(2020)


숲의 가족,김병종,2002,닥판에 먹과 색
전북도립미술관,김병종 기종(1953)

바보예수,김병종, 1987, 골판지에 먹, 색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김병종 기증(2017년)



금강산 삼선암 앞 ,김병종(1953년생), 1999, 종이에 먹,색
서울대학교 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금강산 구룡폭포 앞 ,김병종, 1999, 종이에 먹,색
서울대학교 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구성,이응노,1978, 캔버스에 색,종이,콜라주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구성, 이응노,1970, 캔버스,종이에 먹,색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자연과 도시, 송수남(1938~2013),1984~1988, 한지에 먹,색
전북도립미술관, 이애선 기증(2022)



남천 송수남 인장
전북도립미술관은 송수남과 현대한국화 연구를 위해
2024년 송수남 유가족으로부터 기탁받은 인장 157종을 소장

산수,송수남,1975년, 한지에 먹,색
전북도립미술관, 송수남 기증(2022)


인물, 이응노, 1949,5,6. 종이에 색
고암이응노 생가 기념관, 이종진,이경인 기증(2010)

인간, 이응노,1986, 종이에 먹
광주시립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군상,이응노, 1982년, 한지에 먹,색
광주 시립미술관, 박인경 기증(1999)


인간 ,이응노,1972년, 종이에 먹,색
광주시립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설경산수, 변관식(1899~1976),1957년,종이에 먹,색
국립현대미술관 ,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춘경산수, 변관식, 1952년, 종이에 먹,색
전북도립미술관, 이애선 기증(2024)

십군자,허백련(1891~1977),1960년대, 종이에 먹:10폭병풍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조우, 김경(1922~1965),1960년,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고민, 김흥수(1919~2014),1960,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포즈, 김흥수, 1950년대 후반,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작품,윤중식(1913~2012),1970년대,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년)

수채화(정물),윤재우(1917~2005),1956,종이에 수채물감
전북도립미술관, 윤경현 기증(2015)

Y씨 부인상,윤재우(1917~2005),1980년대, 캔버스에 유화
전북도립미술관,윤경현 기증(2015년)

키스,김정숙(1917~1991),1956, 인조석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자화상(여인초상), 나혜석,1928년경,캔버스에 유채
수원시립미술관. 고 이광일 기증

수원 시립미술관은 근처에 화성 행궁이 있어서
수원행궁을 갈때마다 들리는 곳으로 미술관에서
작품들도 감상하고 차도 마시기 좋은 곳이다.

푸른거울 422, 이성자(1918~2009),1961년
캔버스에 유화,국립현대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인간들의 계절,김영주(1920~1995),1975~1979,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무제, 곽인식(1919~1988),1980년 캔버스,종이에 수채
국립현대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만다라(曼陀羅) ,하인두(1930~1989),1977,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화(華), 하인두,1977년,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장승 2,박생광(1904~1985),1985, 종이에 먹,색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마두, 권진규(1922~1973),1965년경,테라코타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년경)

지성인, 고영훈(1952년생),1992, 천, 종이에 아크릴릭 물감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나무-빛,강요배(1952년생),2005년,캔버스에 아크릴릭 물감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억새꽃, 강요배,2005, 캔버스에 아크릴릭 물감
국립현대미술관,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변신 V ,한운성(1946년생),1970년,캔버스에 에나멜
전북도립미술관, 한운성 기증(2022)

날으는 새, 권옥연(1923~2011),1997년,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여인좌상,문학진(1924-2019),1985, 캔버스에 유화
국립현대미술관, 고 이건희 유족 기증(2021)


근,현대 주요 미술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선물이라는 의미가 물질적가치 보다도 정신사적, 무형의 가치
속에서 더욱 소중하게 다가오는 계기를 만들어주신
이건희 컬렉션 관계자 모두에게 감사드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