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속리산

사색의 산책 2025. 3. 24. 04:12

산행지:속리산 문장대( 文藏臺: 1054m)
산행일시:2025,03,23,일요일 07:50~13:00

산행경로: 법주사주차장~세조길~법주사

                ~목욕소~세심정~복천암~문장대  원점회귀 산행

 

산행소감: 60대 중반에 들면서 산행에 대한 육체적 한계를

                생각하게 된다.우선 관절등의 상태가  50대 때와

                는 다르게 많이 부담이 되어 특히 육산이 아닌

                 바위등이 많은 악산등을 산행시 더욱 각별한

                세심한 관절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속리산은 완전한 악산이거나 육산도 아니어서

               개인적으로 산행을 하기에는 체력적으로는 적절한

               산으로 생각된다.

               법주사에서 세조길로 접어들면 세심정까지

               이른바 산책을 하듯 걷는 데크길이 이어지고

               중간쯤에 속리산 문장대와 천왕봉 계곡수가 모이는

               맑은 인공호수가 상큼한 물향기를 머금고

               폐부 가득히 상쾌한 공기를 밀어 넣을 즈음

               행복한 산행을 절로 예감케 한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천연기념물 제453호인

               멸종위기종인 남생이가 인공호수에 여러마리가

               보였으나,무슨 이유에서인지,

               2024년 가을 부터는 호수에서 볼 수가

               없어서 많이 아쉽고 서운한 마음이 들어서

               호수 곳곳을 찾아보았으나 더 이상 볼 수가 없었다.

 

                  속리산은 속세를 떠난다는 산으로 문장대에 3번 오르면

              극락왕생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아마도 법주사와도

              연관이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세조가 복천암에서

              3일정도 머물며 문장대(이전에는 구름이모이는 봉우리란

             의미의 운장대(雲藏臺)라 이름하였으나 세조가

             문장대에 올라 시경을 강한 이후로 문장대로 바뀌었다 함)

              에 올라서 신하들과 시를 읊었다고 하는데,

 

                 15세기 세조 당시에 한양 도성에서 속리산까지 오려면

             임금의 행차길이 여간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란 추측이 들면서

             속리산 초입의 정2품송이

             절로 세조와의 정담을 풀어내고 있었다.

 

              

 

    속리산 문장대(1054m)

 

    속리산 정상인 천왕봉(1058m)등이 도열해 있다.

 

 

   문장대 주변 산군의 모습들( 문장대 동남쪽 상주 방향의 산군)

 

 

 

 

 

문장대 남쪽 산군

 

 

  문장대 동쪽 산군

 

 

 

 

문장대 표지석(경북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산 33번지)

 속리산은 충북 보은,괴산, 경북 상주,문경 등에 걸쳐있는 산이다.

 

 

   문장대 정상부근 바위

 

 

 

 문장대 표지석 뒤면 속리산 문장대 관련 박찬선 시인의 시

 

 

    문장대 정상에서 먹는 도시락은

그 어떤 스카이라운지가 이보다 선계인가!